지난 프로그램

제9회 세계시민교육 페다고지와 실천을 위한 국제회의 > 지난프로그램

제9회 세계시민교육 페다고지와 실천을 위한 국제회의

세계시민교육으로 그려보는 다자주의 회복과 평화
2024년 9월 4-5일, 대한민국 서울

결과보고서

Day 1
시간 세부 프로그램
08:30-09:30 등록
09:30-10:55

개회식

(개회사 영상) 오석환 (대한민국 교육부 차관)
(개회사) 홍석인 (대한민국 외교부 공공외교대사)
(축사 영상) 스테파니아 지아니니 (유네스코 교육 사무총장보)
(환영사)임현묵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원장)


기조연설 1 분열된 세계에서의 희망, 정의, 그리고 연민: 세계시민교육자로서 우리의 역할 재고

오드리 오슬러 (영국 리즈 대학교 시민권 및 인권 명예교수)


단체사진

10:55-11:10
 
휴식(커피/차 제공)
11:10-12:40
 

기조 세션 1.(패널 토론) 다자간 노력이 가장 필요한 현재의 도전과제

라완 아라르 (미국 워싱턴대학교 법사회정의학과 조교수)
피터 케이 은구레 (주유네스코 케냐대표부 대사)
아이 키하라 헌트 (일본 도쿄대학교 인간안보대학원 교수)
이상욱 (한양대학교 철학과 교수)
*진행자: 한승미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12:40-14:00
 
오찬
14:00-15:30
 

기조 세션 2 평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루디 보르하-데킷 (필리핀 웨스턴민다나오주립대학교 부교수)
타니아 사이드 (파키스탄 라호르 경영과학대학교 부교수)
*진행자: 딜런 레이 (남아공 하이리졸브그룹 글로벌디렉터)

15:30-16:00
 
휴식(커피/차 제공)
16:00-17:30
 

분과 세션 1 협력을 위한 변혁적 학습: '나'에서 '우리'로

첫 번째 분과세션에서는 협력과 공동의 행동을 촉진하는 변혁적 학습 경험에 초점을 맞춥니다. 참가자들은 갈등 전환, 사회정서적 회복력 증진, 윤리적 딜레마 대응에 대한 다양한 워크숍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1.1. 역할극을 통한 대화, 화해, 그리고 갈등 전환

오진아 (소셜디자이너두잉 대표 디자이너)
최대헌 (소셜디자이너두잉 총괄 디자이너)
*사회자: 제프 필란틸라 (일본/필리핀 휴라이츠 오사카 연구원)

1.2. 예술을 통한 사회정서적 회복력 증진

이혜원 (Mtree 수석담당관)
강세라 (Mtree 프로그램 운영 디렉터)
신 사라 영은 (Mtree 교육 및 예술 디렉터)
박성호 (Mtree 미디어 디렉터)
박미재 (전 인천생활고등학교 미용과교사 겸 충남대 교육학과 박사과정생)
*사회자: 레아 에스파야르도 (필리핀연극교육협회(PETA) 예술가 겸 교육자)

1.3. 비판적 사고와 혁신적 문제 해결을 통한 윤리적 딜레마 대응

사라 리아즈 칸 (Harbord & Khan 시각 예술가 및 교육 컨설턴트)
메레디스 하보드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버펄로 캠퍼스 객원교수 겸 Harbord & Khan 미국 Core 21 교육서비스 컨설턴트)

Day 2
시간 세부프로그램
08:30-09:30
 
등록
09:30-10:45
 

기조 세션 3. 청년들의 목소리: 우리가 만드는 평화를 위한 변화

누라 엘케나위 (이집트 세계시민교육 청년활동가)
오샨 구나틸라케 (세계시민교육 청년 네트워크 청년활동가)
김한민영 (피스모모 액션리서치 팀장)
*진행자: 카레나 멘지-발런타인 (호주 CQ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10:45-11:15
 
휴식(커피/차 제공)
11:15-12:45
 

분과 세션 2 국경을 넘고 경계를 허무는 세계시민교육 실천 사례

두 번째 분과세션에서는 세계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세계시민교육의 다채로운 실천 사례를 살펴볼 것입니다. 유네스코 2023 권고에서 제시한 7개의 핵심실천영역을 활용하여 교사 개발, 교육 과정, 거버넌스에 전반에 대한 사례 공유와 토론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2.1. 교사 개발과 학습 환경

앤디 스마트 (NISSEM 공동의장) 
수잔 추 (싱가폴 난양이공대학 부교수) 
조블린 델로사 (필리핀 북부 부키드논 주립대학교 교무부총장)
비자얀 케이 (인도 국립교육연구연수원 교원교육학과 조교수)
*사회자:히미 체 아만 (말레이시아 과학대학교 교육학부 학장)

2.2. 교육 과정, 페다고지, 교육 평가

지네비브 멘사 (가나 국립교육과정평가위원회 세계시민교육과정 담당자)
욬 핑 첸 (말레이시아 아츠에드 선임매니저)
최선주 (하이벗 대표)
하윤영 (세계시민교육 중앙선도교사 겸 서울 월촌중학교 교사)
*사회자: 조대훈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2.3. 거버넌스, 정책, 파트너십

키엥카이 오윤마니 (라오스 세계시민교육협력센터장)
남상은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 및 옹호실 실장)
로웨나 히바나다 (필리핀 세계시민교육협력센터장)
프라나티 판다 (인도 국립교육기획행정원 교수 및 학교 표준 평가 부서장)
*사회자: 찰스 치쿤다 (유네스코 남아프리카 지역사무소 국가프로그램 담당관)

12:45-14:00
 
오찬
14:00-15:30
 

분과 세션 3 우리 모두의 협력: 다자주의적 노력이 지닌 잠재력

마지막 분과세션에서는 교육의 미래를 형성하고 유네스코 2023 권고를 이행하는 데 있어 공동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특히 모든 수준에 걸친 증거 기반 접근과 포괄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현재 글로벌 이니셔티브의 이행, 모니터링, 지역 및 글로벌 수준에서의 협력 등에 대한 의견 교환의 장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3.1. 유네스코 2023 권고 이행을 위한 레버리지: 글로벌 가이드와 아태지역 로드맵

세실리아 바비에리 (유네스코 본부 세계시민평화 교육과장) 
파리알 칸 (유네스코 방콕사무소 교육전문관)

3.2. 교육데이터와 증거가 말해주는 현재와 미래: 모니터링과 평가의 중요성

로샨 바즈라차랴 (유네스코 통계국 아태지역 선임지역자문관)
바바라 나키조바 (우간다 청년개발링크 모니터링 겸 평가담당관)
박환보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레이첼 파커 (호주교육연구위원회 선임연구원)
*사회자: 한건수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3.3. 지역 및 글로벌 수준에서 일궈나가는 공동의 노력

시총 첸 (일본 규슈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타냐 사무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교 교육사회복지학부 선임 강사)
크리스티앙 브라보 아라야 (유네스코 산티아고 사무소 컨설턴트)
마리아 이오아누 (키프로스 교육부 교사)
*사회자: 아이굴 쿨나자로바 (일본 타마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15:30-16:00
 
휴식
16:00-17:00
 

기조 세션 4 나아가며: 학습 환경의 혁신을 통한 다자주의 활성화


[제9회 국제회의 하이라이트 영상]


[폐회식]

(폐회사) 임현묵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