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 세부 프로그램 |
---|---|
08:30-09:30 | 등록 |
09:30-10:55 |
개회식 (개회사 영상) 오석환 (대한민국 교육부 차관) 기조연설 1 분열된 세계에서의 희망, 정의, 그리고 연민: 세계시민교육자로서 우리의 역할 재고 오드리 오슬러 (영국 리즈 대학교 시민권 및 인권 명예교수) 단체사진 |
10:55-11:10 |
휴식(커피/차 제공) |
11:10-12:40 |
기조 세션 1.(패널 토론) 다자간 노력이 가장 필요한 현재의 도전과제 라완 아라르 (미국 워싱턴대학교 법사회정의학과 조교수) |
12:40-14:00 |
오찬 |
14:00-15:30 |
기조 세션 2 평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루디 보르하-데킷 (필리핀 웨스턴민다나오주립대학교 부교수) |
15:30-16:00 |
휴식(커피/차 제공) |
16:00-17:30 |
분과 세션 1 협력을 위한 변혁적 학습: '나'에서 '우리'로 첫 번째 분과세션에서는 협력과 공동의 행동을 촉진하는 변혁적 학습 경험에 초점을 맞춥니다. 참가자들은 갈등 전환, 사회정서적 회복력 증진, 윤리적 딜레마 대응에 대한 다양한 워크숍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1.1. 역할극을 통한 대화, 화해, 그리고 갈등 전환 오진아 (소셜디자이너두잉 대표 디자이너) 1.2. 예술을 통한 사회정서적 회복력 증진 이혜원 (Mtree 수석담당관) 1.3. 비판적 사고와 혁신적 문제 해결을 통한 윤리적 딜레마 대응 사라 리아즈 칸 (Harbord & Khan 시각 예술가 및 교육 컨설턴트) |
시간 | 세부프로그램 |
---|---|
08:30-09:30 |
등록 |
09:30-10:45 |
기조 세션 3. 청년들의 목소리: 우리가 만드는 평화를 위한 변화 누라 엘케나위 (이집트 세계시민교육 청년활동가) |
10:45-11:15 |
휴식(커피/차 제공) |
11:15-12:45 |
분과 세션 2 국경을 넘고 경계를 허무는 세계시민교육 실천 사례 두 번째 분과세션에서는 세계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세계시민교육의 다채로운 실천 사례를 살펴볼 것입니다. 유네스코 2023 권고에서 제시한 7개의 핵심실천영역을 활용하여 교사 개발, 교육 과정, 거버넌스에 전반에 대한 사례 공유와 토론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2.1. 교사 개발과 학습 환경 앤디 스마트 (NISSEM 공동의장) 2.2. 교육 과정, 페다고지, 교육 평가 지네비브 멘사 (가나 국립교육과정평가위원회 세계시민교육과정 담당자) 2.3. 거버넌스, 정책, 파트너십 키엥카이 오윤마니 (라오스 세계시민교육협력센터장) |
12:45-14:00 |
오찬 |
14:00-15:30 |
분과 세션 3 우리 모두의 협력: 다자주의적 노력이 지닌 잠재력 마지막 분과세션에서는 교육의 미래를 형성하고 유네스코 2023 권고를 이행하는 데 있어 공동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특히 모든 수준에 걸친 증거 기반 접근과 포괄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현재 글로벌 이니셔티브의 이행, 모니터링, 지역 및 글로벌 수준에서의 협력 등에 대한 의견 교환의 장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3.1. 유네스코 2023 권고 이행을 위한 레버리지: 글로벌 가이드와 아태지역 로드맵 세실리아 바비에리 (유네스코 본부 세계시민평화 교육과장) 3.2. 교육데이터와 증거가 말해주는 현재와 미래: 모니터링과 평가의 중요성 로샨 바즈라차랴 (유네스코 통계국 아태지역 선임지역자문관) 시총 첸 (일본 규슈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
15:30-16:00 |
휴식 |
16:00-17:00 |
기조 세션 4 나아가며: 학습 환경의 혁신을 통한 다자주의 활성화 [제9회 국제회의 하이라이트 영상] [폐회식] (폐회사) 임현묵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원장) |